2020년 8월 10일 월요일

Logitech Powerplay 와 PRO Wireless 그리고 블루투스 마우스(MX Anyware S2) 간섭


결론 
1. 블투 마우스가 간섭으로 튄다.
2. 무선 충전마우스를 치웠다 (충전기능이 꺼지면서 좀 나아짐)
3. PC에서 USB 출력을 껐다 (패드자체의 전원공급차단, 나아진듯 아닌듯 하지만 결국튄다)
4. KVM에 Powerplay 끼우고 무선 충전마우스만 사용 (블투마우스는 이동시에만...)


얼마전 

누군가 로지텍의 무선충전 마우스와 올려만 놓으면 충전해주는 파워플레이(Logitech POWERPLAY)라는 깔판(?)을 제공해줬다 

(고맙다... 계속 술 사겠다)


내가 PC와 놋북을 사용중인데 원래  KVM(키보드 마우스를 버튼눌러서 스위치하는)을 연결해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공유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PowerPlay는 USB연결이라 PC에 연결하고 

노트북은 들고다니는거라 Logitech Unifying reciver를 끼워서 사용했다 

결국 PC켜면 Powerplay에 PRO Wireless 마우스를 쓰고 

노트북은 블루투스로 붙여 놓은 작은마우스(MX Anyware S2)를 사용했다 

처음 설치하고는 몰랐는데 일하느라 (일 할때는 맥북을쓴다)  마우스를 쓰다보면 자꾸 툭툭 포인터가 튀고 

뭔가 이동이 부자연스러웠다 



파워플레이 패드말고 그냥 아무대서나 잘 되서 마우스 패드의 재질이 문제인가 싶었다

그래서 다른 패드(파워플레이안에 재질이 다른 패드 두개가 있다)를 바꿔봤는데 똑 같다

잠시 고민하다가  PRO Wireless 마우스를 치웠다(파워플레이 패드가 인식하고 충전등이 꺼진다)

이 상태에서 블투 마우스를 쓰니 좀 나아졌다

해결 되었나 싶어서 좀 쓰다보니 여전히 좀 이상하다....

아마도 지속적으로 무선충전 마우스가 있는지 패드가 계속 체크를 하는것 같고 

그때마다 살짝 블루투스 통신에 문제가 생겨서 마우스가 튀는건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그럼 노트북을 쓸때는 파워플레이를 아에 꺼보면 알것 아닌가 

근데 PC가 전원을 꺼도 USB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이건 PC CMO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ASRock X570 Taichi 기준이다 . 

PC ON -> DEL(또는 F2) 클릭 - UEFI로 설치하면 프로그램으로 CMOS진입 -> Advanced 메뉴 -> Chipset Configuration -> Deep Sleep -> Enabled in S4-S5 



F10 누르고 엔터 하면 저장하고 리부팅 된다

그러면 아래처럼 PC를 끄면 파워플레이 패드에 전원이 아에 제공되지 않는것을 알 수 있다 

밥 안줘!


이렇게 해서 완전히 해결이 됬는가???

아니다 많이 개선은 되지만 여전히 잠깐씩 툭툭 걸린다 

이건 결국 파워플레이 패드에 전력공급을 위한 코일이 안테나 역할을 해서 블투신호를 먹어버리거나 해서 통신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해야 할 것 같다 

살짝만 벗어나면 아무 바닥에서나 잘 되니까.....

결국 정답은 

마우스를 하나만 쓰도록 하고  블투는 나갈때나 써야 겠다는 거다 

파워플레이 USB를 PC 본체에서 KVM으로 변경해서 끼웠다 

별다른 문제없이 KVM으로 버튼 한번씩 눌러가면서 기존 처럼 사용하면 된다

읔......먼지
읔......먼지



문제는.....문제라고 까지는 그렇지만 로지텍 마우스프로그램이 Logi Options와 Logitech G HUB  두개를 깔아야 한다는거다

MX Anyware S2는 Options에서 제어하고  Powerplay 와 PRO Wireless는 G HUB에서 제어한다..

구찮지만 놋북에 프로그램 두 개 깔고 합의 보기로 했다 
한집에 둘이....

별게 다 사람 귀찮게 하는군....

2020년 6월 3일 수요일

조까시구요.... 웅?


10대 
야! 씨바 큰회사 왔으니 잘 배워야지 대가리가 돌이냐?

20대 
받은만큼 일할꺼면 꺼져  세상에 너뿐이냐?

30대
용찬매니저니까 그런거죠

40대 
권부장님 이니까  그따우 개소리 하는거 아닙니꽈?
....

사회생활 하면서 한번을 내 잘남 그 자채로 인정받은적이 있는가...?

회사의 이름으로

회사에서의 직책으로 

결혼 따위를 했다는 그것 만으로 

애가 있다는 그것때문에 

수 많은 책임과 이해 할 수 없는 믿음으로 

쓸모없는 "책.임.감"을 수행하고 있다 

항상 너님이나 잘 하세요 라고 하지만 

나님 하나 건사하기 힘든 삶에서 대체 나라는 인간이 

무엇때문에... 어떤사유로.... 왜?  

인정 받아야 하는지 고민이나 하고 있는지 궁금을 때리고는 한다.

나도 궁금타 

내 30대에 너 지금하는일로는 40대 되면 바로 쓰레기 된다며 

더 중요한일 더 좋은일 하라고 지적질 졸라 많이 받았더란다

그래도 내 40대 중반에 대충 오.대.수(오늘도 대충 수습하며)살고 있다 

남에 인생에 관심둘 시간에 

너님 인생이나 잘 챙기자 

나는 잘 살터이니   ok?


2020년 3월 22일 일요일

굿바이 카렌스, 헬로 벨로스터 - 벨로스터 엔진교환 프로젝트

블로그에 글은 처음 쓰지만 얼마전 카렌스 2000년식을 폐차했습니다.

그리고 중고로 2011년식 벨로스터를 구입했습니다 ^^

가족용 차량으로 올란도가 있기때문에 혼자 출퇴근용으로 구입했지요

카렌스의 마지막은 이랬습니다.

왼쪽 등속조인트 부츠가 터졌습니다.  센터에 가서 교환해 달라고 했더니 아저씩 30분 정도 씩씩거리며 뽑다가 포기하셨습니다.
등속조인트는 미션에 물려있는데 원래 그냥 잡아뽑으면 쑥~! 빠져야 합니다....
근데 이게 안쪽에 링같은게 있는데 이게 문제가 되면 걸려서 미션에서 빠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제가 딱 그 케이스에 걸린거지요...

결국 등속조인트의 부츠때문에  등속조인트 자체를 뽑아야 하는데 미션에 걸려서 이거 작업하려면 미션을 내려야 하는...... ㅜ.ㅜ

부츠 교환만 가능하기는하지만 보통 8~10만원대 이고  새 부츠가달린 등속조인트 재생품이 15만원정도 하기때문에 보통 부츠를 교환하는것보다 등속조인트 자체를 교환하는것을 센터에서는 권장합니다. (작업도 편하고요)

하지만 미션에서 안빠지면 일반 센터에서 작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가격도.....

결국 집근처(안산입니다.) 사동에 미션전문 회사가 있어서 약 40만원 정도에 미션 오버홀(이라고 부르면서 재생미션으로 교환해버립니다 그게 더 편하고 빠름)을 부탁하면  등속조인트도 교환을 하려고 가게에 문의도 다 했습니다.

그런데 일이 밀리는지 예약을 못잡고 있던 찰나....

갑자기 ABS등이 켜지고 꺼지질 않습니다......하아..... 이게 바퀴마다 달린 센서 문제건 ABS 자체의 문제건 이것또한 가격이 만만치 않습니다.

미션에  등속조인트에 ABS까지하면  100만원 가까운 비용이 나옵니다.
보험가격으로 2000년식 카렌스는 70만원입니다....

고민하다가 결국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제 보내줘야 겠구나....

아직 끌고 다니는데 큰 문제 없고 ABS야 브레이크 잠길정도로 정지하지만 않으면 큰 문제는 없지만 계속 이렇게 다닐 수 는 없는 일이지요

그래서 결국 카렌스는 빠이빠이 하게 되었습니다.  둘째 태어날때도 이 차로 병원에 갔고 진주의 부모님댁에 갈때도 온가족이 타고 다녔고 ...

보내기로 한 전날 저녁 차에 부착한 물건들을 때고 짐을 챙기고 나니 짠한 기분이들었습니다

안녕 카랭이 수고했어

정말 안녕....

카렌스를 안산의 폐차장에 예약하니 차를 가지러 직접 온다고 합니다.
아직 굴러다닐 수 있으니 탁송기사가 와서 끌고 가신다고 하는군요
가져가서 보고 가격은 책정해서 통장으로 넣어줍니다.
35만원 받았습니다.

원래 폐차하면 말소사항에 대한 서류를 주기로 했는데 안보내 주더군요
인터넷으로 구청에 들어가서 조회해 보니 폐차로 뜨길레 더이상 말은 안하고 끝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카렌스를 보내고  출퇴근용으로 찾아본 벨로스터

전부터 혼자 타면 그냥 쿠페형태를 타보고 싶어서  기아 포르테나 좀 오바하면 미니도 생각은 했지만 미니는.....내가 정비하고 하는 취미생활을 못할것 같아서 현대나 기아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찾아보다보니 현대의 벨로스터가 있는데 꽤 스팩이 괜찮아 보여서 수원 중고시장의 딜러 몇 군데 전화해서 그중에 제일 말 뽄세가 업자(?)같지 않은 친구와 차를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방문해서 차를 보았습니다. 벨로스터 DCT Pack 이라는 라인이고 2011년 당시 제일 윗 트림이였습니다.  문제는...찾아보니 이놈도 유리심장이라...(감마 GDI)  아마도 엔진 실린더 벽이 엉망이지 않을까.....오일은 얼마나 먹는지.....맛이 갔으면 촉매도 맛이 갔을껀데....

걱정은 되지만 9년에 8만8천km 뿐이 안뛴차라  첫 방문에  너무 늦어서 시운전을 못해보고 두번째 방문에서 시운전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한바퀴 달리니 괜찮은것 같습니다. 소리도 그닥 심하지 않고 배기로 흰연기가 조금 나오기는 하지만 문제가 있는것 같이 나오지도 않고....
그래도 확인은 해보자는 생각에  본네트 열고 시동상태에서 엔진오일 보충구를 열었습니다...

콰콰콰콰콰콰콰~~!!!! 

헛.... 블로바이 가스가 엄청나게 솟아오릅니다..... 비스듬히 보니 오일도 시커먼게.....
걱정했던 상황입니다. 차 관리는 안하고 있는대로 밟아대서 실린더는 다 긁혔을 것이고 촉매에는 엔진오일이 넘쳐있어서 운나쁘면 녹아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원래 상담했던 딜러가 방문한 날 없어서 다른 딜러를 대신 보내줬는데  싸가지가 없는 놈이 왔습니다.

이가격에 이차면 됬지 뭘 바라냐는듯한 언사에  시운전하고 돌아오는 길에 살래 말래 지금 안사면 나 이거 딴데 팔꺼야?
"이거 남는게 없어서 팔아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야 하길래

"그래라 나도 사도 그만 안사도 그만이다"

그렇게 집에 와버리고 그냥 지워버릴까 하던차에 혹시나 해서 차량번호로 뒤져보니

오....이차  보증연장 대상이내????

감마 GDI의 실린더 긁어먹음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엔진 보링을 하고  팔아버리고 했는데 워낙 문제가 많으니  현대가 몰래(?)  엔진의경우 불량판정을 받으면 10년에 16km까지 연장을 해준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블루핸즈에 문의하니 대상 차량이기는 한데 블루핸즈에 방문해서 불량 판정을 받아야만 실린더 블럭(쇼트엔진)을 교환해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민하다가..... 그래 그정도 블로바이가스량이면 불량이 안날리가 없다!!
(그리고 엔진 오일 찍었을때 L에 찍히는데 다행이 차에 엔진오일 교환일이 있었는데 6개월 전이였습니다. 6개월만에 L찍히는게 말이 안되죠)

확신(?)을 가지고 차를 구입했습니다.



처음 한것은 엔진 교환을 위한 3단계중 1단계
블루핸즈에 방문해서  엔진오일을 F선까지 채우고 사진을찍고 확인을 받은다음
엔진 오일을 뺄 수 없도록 스티커로 봉인을 합니다.

봉인하러 간날
세상에나...이차 블루핸즈 이력에 2012년 이후에 한번도 없다능...
사설을 다녔다고 해도 신차점검도 안한듯  차 관리 넘 안했내....

이제 2000km이상을 달리고 난 다음 다시 들와서 엔진오일이 줄어든 량을 측정해서 많이 줄었으면 불량 판정을 받게 됩니다.
저는 3000km 정도 타고 갔구요   체크하는데 어찌나 불안하던지....

"이정도 줄어드는건 정상인데요?!" 하면 어쩌나...

다행이 중간선까지 쭉 줄어 있었나봅니다. 불량이라고 한달 정도 후에 쇼트엔진이 도착하면 그때 연락을 준다고 합니다.


앗싸!  300만원 벌었다!!!  (보링이 200만원 정도이고 신품은 400이 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고 벨로스터는 새로운 심장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오해를 하지 마실것이 엔진 전체를 바꾸는게 아닙니다. 엔진은 3단으로 되어 있고 제일 위에 커버로 덮어집니다. 이 중 피스톤이 동작하는 중간 부분이 쇼트엔진이라고 하고 이 부분이 긁혀서 모든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 부분만 교환을 해줍니다.

결국 근본적인 원인해결은 아니고....그냥 생명을 연장해 주는것이지요...그래도 그게 어딥니까 10만km 정도 더 탈수 있다는 말이니 앞으로 관리만 잘하면 5년이상 잘 버티겠지요


불량 판정후 중고차이다 보니 휠이 개판입니다....
카랭이 판매후 받은 돈으로 벨로스터의 휠을 복원했습니다.

이건 물론 샵에 맞겼고 45만원 지불했습니다.
뭘 어디다 어떻게 긁어먹고 다닌거임....

살아난 휠~!!

다음으로 브레이크패드를 어떻게 관리했는지 드럼까지 긁혀있어서 드럼을 직접 구입해서 교환했습니다.... 보통 1시간에 1만5천원에 리프트를 빌려주는 곳에서 하는데  예약을 못해서 노상에서 하느라 죽을뻔 했지요.....

깨끗깨끗 이맛에 정비하지
브레이크 패드도 가져올때 거의 다 달아없어서  현대 정품으로 구입해서 갈았습니다. 패드 판과 스프링도 오래되서 다 갈아야 할 것 같아서 정품으로 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대망의 날
한달만에 엔진 교환일정이 잡혔고  쇼트엔진 교환과 함께 주변 부품도 싹 교환을 요청합니다. 엔진을 내리고 뜯으면 어짜피 모든 부품을 때어 내기 때문에 새 부품을 부품값으로 작업해 줍니다.

사실 교환시 어느정도 세척은 해주는것으로 알지만 ETC(가변흡기밸브)와 엔진 헤드부분의 흡기 밸브에 보나마나 카본 투성이 일것 같아서 그쪽도 해달라고 하니 별도 비용을 받습니다.  뭐 돈은 드리고 일을 시켜야죠
우리나라 메카닉비용은 이상하게 싼겁니다.
내 연봉은 높아야 하고 남의 공임은 사기라고 하는 도둑놈 심보는 좀 버려야 겠습니다.




깔끔하게 갈아놓은 엔진룸을 보니 중고지만 새차산것 같습니다.



이렇게 20년 된 카렌스를 보내고 또 10년된 중고이지만 엔진도 갈고 했으니
앞으로 또 10년 잘 타고 지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차 수리를 해도 카렌스 수리는 없고 벨로스터 수리로 넘어가겠군요 ㅎㅎ

자가수리 만세~!
자동차 20년타기~!
현대기아는 만들어타는차 맞습니다~!

.이상

2010년,2015년 그리고 2020년,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블로그를 시작한것이 2012년
2MB때문에 열이 치는데 어디 화풀이 할 곳은 없고 해서 시작한 블로그이다.
그래서 제목도 벽보고 욕이라도 하자 되시겠다.

2010년 와이프가 둘째를 임신했고 그해 광풍처럼 불어닥치는 신종플루(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2009년 3월 최초발견)가 있었다. 임산부라 걸리면 약도 못쓸것 같고 걱정이 점점 늘어났다.
이 때만 해도 나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도 몰랐고  항생제는 바이러스치료에 도움이 안되며 바이러스는 치료제가 개발될 뿐 백신이 개발되지 않는다는 것도 몰랐다.

백신을 만들 수 는 있겠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짧아도 1년 그사이 다 죽어나간다) 높은 비용과 특히나 변이가 엄청나게 빠르기 때문에 백신이라고 열심히 만들어봐야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고, 기껐 개발했다가 먹히지 않았을 경우 사정을 알리 없는 투자자들과 약만 기다리던 민중들의 엄청난 반발을 견더낼 자신도 없으니 바이러스 백신은 "개발을 할 수 없다"라고 퉁치는것을 그때 알았다.

  바이러스는 자체적인 생식능력(?)이 없다



그래서 이 영특한(?) 녀석들은 기생충의 그것과 비슷한 방법을로 번식을 한다. 정상 세포에 달라붙터 자신이 가진 열쇠(스파이크, 바이러스의 돌기)를 사용하여 세포막을 통과해 들어가 자신의 RNA를 방출하고 정상 세포를 쪽쪽 빨아 자신을 복제(생식이 아니다 이놈들은 Copy한다)하고 세포안에서 증식하여 숫자가 늘고 먹을것도 없고 하면 세포를 터트리면서 튀어나와 또다른 희생양을 찾아 떠난다.
에볼라나 그런게 무서운게 워낙 이 과정이 빨라 세포가 터져나가면서 사람의 눈,코,귀로 피가 흐른다
이렇게 폭발적인 복제과정을 거치면서 DNA보다 훨신 변이(변종)가 빠른 RNA바이러스(이번 코로나가 RNA에 외피질이 있는 바이러스다)는 조금씩 자신의 모습을 바꿔가며 인간들의 추적을 피해나간다

바이러스는 DNA형과 RNA형(외가닥 겹가닥....졸라많다)이 있다고 한다
DNA는 많이 들어봤을것이다 유전자 지도를 그릴때 설계도라고 많이들 표현한다.
이 DNA를 읽어서 해석한것이 RNA이다 그리고 그 RNA를 실제 구현한것이 단백질 즉 우리의 세포가 되겠다

예를 들어 DNA에 RNA로 해석되는 과정에서 뭔가 틀어지면 RNA를 해석해서 세포를 만들어낼때 세포의 위치(넌 손가락이고 넌 발가락이야  그리고 너는 위벽이야...)나 수명(적당히 나이들면 죽어야함...)이 정의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들어진 단백질은 위벽에 발가락이(?) 자라듯이 뭐가 되어야 할지 꿈도 희망도 없이 증식만하고 언제 죽을지 모르니 그냥 무작정 살아간다 이게 암이다.

방사능을 쏘이면 암이 발생한다는 이유가 이런 기전을 통한다. 방사능은 DNA의 염기서열을 파괴하고 이 파괴된 설계도로 만들어진 시방서(RNA)는 잘못된 건축물을 만들게 되는것이다.

각설하고 결국 지가 어디까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 생각없은 녀석이 바이러스라고 할 수있지 않을까
이놈은 지가 커서 뭐가 될지 생각이 없다. 마치 10대의 그것과 비슷한데 절대 철이 들지 않는다는것이 차이점 이라고 할까...

여하간 이런녀석이라 백신이랄께 의미가 없다는게 상당한 설득력을 가진다. 그래서 얼마전 영국이 "집단면역"이라는 단어를 사용할때 바이러스가 그 말을 들었다면 이렇게 말하지 않았을까?

"조까고 있내"

“60% 감염 통한 집단면역” 영국 일주일 뒤 ‘…’


일본의 그것도 잘 생각해보면 말도 안되는 것임을 알 수 있지만 민중의 무지란 어쩔 수 없다. 우리가 무슨 학자도 아니고 모든 사람들이 그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질 수 없지 않은가 그리고 국민들이 그런거 신경 쓰지 않고 일상을 살 수 있도록 하라고 국가와 정부가 만들어진것 아닌가?

나 역시 그러했다 앞서 주절거린 수박 껍대기 같은 지식이라도 공부하게 된 이유가 있었으니.....   2008년 신천지당이 집권하면서 나에게 있어서 정부가 없었고 국가가 나와 내 가족을 보호해주리라는 희망이 점점 흐려지고 있었다

신종플루가 창궐하면서 내가 들은 것이라고는

"정부가 잘하고 있으니 닥치고 그냥 손이나 잘 씼으라"

언론이라는 것들은 정부 발표를 투명하게(?) 줏어먹고 소위 전문가라는 세끼들을 잔뜩 대리고  와서는 앵커놈 지도 모르는 말을 주절 거리고 있었을 뿐이였다.

결국은 직접 공부하기 시작했고 그때 그때 공부했던 것을 블로그에 정리하기 시작했다.

메르스를 대하는 아빠세끼의 자새
https://yckwon2nd.blogspot.com/2015/06/blog-post_4.html

소독제 정보
https://yckwon2nd.blogspot.com/2015/06/anf-nq.html

마스크 사재기
https://yckwon2nd.blogspot.com/2015/06/blog-post_18.html

A형 독감
https://yckwon2nd.blogspot.com/2016/12/2016-12.html

....

사실 공부는 2009년~2010년에 했고 이때부터 소독약과 방역을위한 자산(?)을 축적하기 시작했다. 매년 황사가 오기전에 (마스크가 쌀때) 대형과 소형 마스크를 박스로 구입하고 방독면 정화통의 기한을 보고 새로 구입도 했고, 소독약은 4L짜리로 구입해서 정기적으로 집을 소독했다.

이후 메르스가 터졌다
2MB가 삽질을 하면서 2010년 8월까지 76만명이 감염되고 270여명이 합병증으로 사망하였으나 언론이나 정부는 이런 내용을 흘리듯이 지나갔고 살아남은 자들은 일제치하 부역자들처럼 죽어간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지워버렸을 때다....

2015년 MERS가 유행을 하면서 아는지 모르지만 초반의 대응은 얼척이 없었다.  사스 이후 2003년 창립된 질병관리본부는 신천지 여당의 집권하에 천덕꾸러기 같은 신세였고 대형 병원들은 영리병원을 만들어 돈을 벌기 위해 노력했고, 삼성같은 기업까지 민영화된 의료환경에서 벌어들일 수 있는 돈을 탐하여 한국의 보건 체계를 위협하고 있었다. 환경이 그러하니 일선의 의사들은 감염진단, 외과, 응급의학 등 돈안되고 힘든일 보다는  피부과와 성형에 관심을 가졌고 강남과 전국은 온통 얼굴 깎아내고 가슴에 보형물을 넣느라 바빴다. 한국보다 떨어지는 환경의 중국과 일본인들이 성형 관광을 하면서 돈이되자 대통령이란 년이 특혜를 주기까지 이르러 한국은 미쳐돌아가고 있었다.

박근혜 정부를 움직인 의사·한의사


이러니 당장 질병이 확산되자 질병관리본부는 전 정권 인사라는 낙인에 밀려나고 떠나버린 정부 조직에 변변찮게 대응할 실력도 예산도 조직도 없는 상태였다.
결국 뭐 아는것도 없는 보건복지부가 하겠다고 나섰는데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이라는놈이 경제학전공이였고(문형표) 이 인간의 목적은 건강보험공단을 장악하는게 목적이였지 보건의료 환경을 개선하거나 국민의 건강에 대해서는 정말 씨발 좃도 아는게 없는 인간이였다.

경실련,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 직무유기 검찰 고발


2015년
5월 4일 바레인에서 귀국한 한국인(68세,남)의 메르스 확진이 첫 환자였다. 정부는 별반 의미없이 대응했고, 미시적인 접근 방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숫자를 제어했다. 2020년 일본과 아주 흡사하다

5월 20일 7명의 확진자가

5월 29일 14명으로 증가되었다.
이때는 이미 평택 성모병원의 원내 감염으로 인한 전염이였다. 1번 확진자가 나오고  한달이 다 되어 이미 전염은 보이지 않는곳에서 확산되고 있었고 의료시스템은 이미 감염의 원천이 되어 있었다.  누가 걸린건지 어디서 걸린건지도 모르고 사람들이 병원에 실려가기 시작했고 알고 보고 병원이 이미 감염되어 코호트격리가 이루어지면서 자식이 부모를  부모가 자식의 마지막 모습을 보지 못하고 속절없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감염학회와 질병관리본부의 알람은 닭대가리 같은 중앙정부에 잘 전달 되지 못하였고  여기서 삼성은 대박을 친다


14번 환자가 최초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내원했었고(5월 27~29까지) 이후 병원내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보건복지부에서 환자 명부를 제출하라고 했더니 지지부진 하다가 나중에야 알게 되서 추적을 해보니 이미 난리가 난 상황이였던 것이다.

메르스 사태 놓고 끝까지 가보자는 복지부-삼성서울병원

하지만 역시나 "관리의 삼성" -이 단어 좋아하는 인간들 꽤 많던데 지랄을 하셈- 은 잘 빠져나왔고 삼성병원의 문제라기 보다 한국 전체의 의료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조옷 같은 교훈을 남기게 되었고, 덕분에 대형 병원의 감염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증을 취득하는 등 일부 개선의 노력은 했다고 하지만  일선에서 아는 바와 같이 인증이란게....... 씨바...
그리고 여전히 삼성병원은 성업중이다.

2MB를 통해 신자유주의(자본주의가 일부 시장개입을 허용하지만 신자유주의는 간섭주의를 비판한다. 즉 무한경쟁이 시작되었다)의 기조가 사회전반에 교육, 의료 할 것 없이 퍼져나갔고 신천지 여당의 집권으로 이어지면서 도를 모르고 마구잡이식 민영화와 해먹기 (결과가 최순실이다)가 시작되었고

결국 국가가 나를 지켜줄 것이라는 생각은 1도 들지 않기 시작하면서 나의 새로운 취미생활(?)이 시작되었다.

10년에 가까운 정권은 나에게 10년간의 각자도생 스킬을 찍도록 강요했고 이것저것 준비하다보니 집에는 개인이 소지하고 있기에는 민망스러운 장비들이 보유되기 시작했다

처음 내가 이짓을 시작할때 와이프도 반응이 "흠...." 이였고 가끔 술마시다 자랑질 하듯이 말하면 "야 집에 그거 다 쌓아둘 자리는있냐?" 라는 퉁도 들었지만 신경 쓰지 않았다.

이런 정권에서 감염에 의한 epidemic(지역감염)이나 pandemic(전지구적인감염)이 일어난다면 정말  먹을것이 없어서 힘들어 할 수 있겠다는 확신과 기본적인 방역을 위한 대응 자체가 불가능한 막막한 상황이 도래할 것이 뻔히 보였다.

아빠 새끼가 돈을 버는게 당연하다고 하지만 그 활동의 본질은 가족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이 아니겠는가  돈을 벌면 뭐하나? 애가 병걸리고 아픈데 아는게 없어서 "안아키" 사이트 따위나 뒤져보고 민간 요법이나 볼 줄 알고 스테로이드의 기전(약이 작용하는 방법)이나 항생제를 끝까지 다 먹이라는 이유도 모르는 부모는 자녀를 죽일 수 도 있는 일이다.

병신같지만 매년 애들 열 내리겠다고 이부로펜이나 타이레놀 해열제를  과다 복용시켜서 애들을 죽이거나 죽일뻔 하는일이 발생한다.

이번 COVID-19의 경우 정권에 대한 신뢰는 있었으나 그것은 단지 기대일 뿐이였고 정말 잘 해낼지 어떨지는 알 길이 없었다

초기 방역망에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마스크 재고를 파악하고 물자를 챙겨서 정리했고 의료체계 붕괘의 가능성이 보일만큼의 기울기로 상승하는 장면에서 약국에서 구입 가능한 소염제와 2L의 산소공급장치,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구입했다.

만약 당장 병원에 입원하지 못한다고 해도
소염제를 투입해서 폐의 염증진행속도를 늦추고
(바이러스는 잡지 못해도 빠르게 폐에 농이차서 질식사 하지 않도록 지연시킬 수 있다)
해열제를 투여해 열을 낮춘다
(열은 면역체계의 정상적인 활동이다 하지만 자가면역이 심해지면 정상적인 세포가 공격당할 수 있다 그래서 해열제는 이런 면역체계를 잠시 잠재우는 역할을 한다)
산소포화도가 90아래로 떨어진다면 최소한 병원에 입원할 때 까지 몇 시간의 산소공급을 위한 장치를 준비했다
이렇게 버퍼를 만들고 시간을 끌어 공공 의료체계 안으로 들어갈 때 까지 버틸 수 있다면 살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진다.

이렇게 까지 했지만 안된다면 그건 개인이 어떻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겠다. 거기까지가 한계가 아닐까

수천의 사람이 감염이 되었지만 쫄지는 않았다 이미 신종플루때는 만명단위로 감염이 되었던 것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2MB와 언론이 하도 대충 넘어가서 아는사람이 많지 않다)
다만 생각보다 상당히 빠르게 그레프가 안정화 되었고

"아..이 국가는 정부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겠구나"

라는 신뢰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오늘 앞서 정리해놨던 전략자산(?)을 챙겨서 기부를 하기로 마음먹어 봤다

요즘 지속적으로 재택근무라 낮에 잠시 둘째를 대리고 산책을 한다.
얼마전 1.5톤 트럭뒤에 소독액을 가득 채우고 사람이 고압호스로 길거리를 방역하고 학교의 운동장 운동기구와 동네 놀이터를 소독하는것을 보았다. 짐칸에 위태위태하게 서서 소독약을 뿌리는 아저씨의 얼굴에는 N95라거나 KF94 또는 방진1등급이 아닌 웬지 수술마스크 비슷한걸 끼고 방역활동을 하는것을 보고 어느정도 정리가 되면 기부를 하거나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 더랬다.


보건소에 방문했으나 개인기부는 받을 수가 없다고 빠꾸먹었다
(엄청나게 미안해 하더라...나까지 무안했다)
전달할 곳을 알려준다고 해서 다시 들고왔다.....
여하간 공공은 유연성이 떨어진다


"이 또한 지나가리니"

그렇다

이 막되먹은 상황도 어떻게든 진정이 될 것이다
지구의 자정작용인지 음모론처럼 뭔지 알 길 은 없지만 다 죽어서 인류가 멸종할 사태는 아니다. 더 골때리는 바이러스들이 훨씬 많다.

맨날 코로나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 SARS의 원인인 인플루엔자는 공기중 감염이 가능하고 대책 만들기도 훨씬 어렵다. 아직까지는 인간간 감염이 쉽게 되지 않아서 그냥 저냥 버티고 있지만  SARS의 인플루엔자 변형이 창궐했다?

이번 상황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진정한 재앙이 벌어질것이다

쓸모없는 음모론이라고 생각 할 지도 모르겠다

다시말하지만 나도 그저 혼자 생각에 취미생활로 이런 놀이(?)를 할 뿐 기관이 할 일을 나혼자 하겠다는 병신짓은 할 생각이 없다.
다만 가끔 내가 감기에 걸리면 청진기로 내 기관지의 소리를 들어보고 정상과 비정상의 차에 대해 공부를 해보는 정도를 계속 하고 있다.

“살아남고 싶다”라며 ‘쌀 200kg+고기 200근’ 사서 자가격리 들어간 청년



확실히 이전 정부와는 다르다 

세계적으로 검증되고 있고 
실제 상황을 봐도 
진전이 있는 발걸음을 하고 있다고 보인다

언론이 바이러스같아서 그렇지 
한국의 시스템은 동작하고 있다는것에 
안도감을 가지며 내 생활을 이어간다


- 참고 -
메르스연대기
신종플루
증동호흡기 증후군
질본 - 메르스
질병관리본부

2020년 2월 10일 월요일

GitHub에서 webhook으로 AWX Template 실행하기

github에 코드 push후에 자동으로 뭔가(보통 빌드나 배포겠지) 이어서 하려고 Jenkins 에서 GitHub Integration Plug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https://plugins.jenkins.io/github-pullrequest/

만약 AWX에 template를 실행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믄 될까

다 준비되어 있다아아...

엔서블타워 매뉴얼(참고)
https://docs.ansible.com/ansible-tower/latest/html/userguide/webhooks.html

!!  아래 나오는 URL은 접근이 안되는 URL이고 token은 모두 제거했으므로 뭔가 해보려고 삽질을 하지 말자 그런다고 누가 10전도 안준다. 공부나 해라

원래 AWX 4.0을 쓰고 있었는데 여기는 webhook이라고 별도 기능이 제공되는건 없고  AWX API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webhook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번에 AWX 9.1.1로 업그레이드 하고보니 webhook이 jenkins의 webhook plugin처럼 별도의 기능으로 편하게 제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대략적인 순서는
  1. GitHub에서 PAT(Personal Access Token)를 생성하고 
  2. 자동으로 실행시킬 AWX의 template에서 웹훅(webhook)을 활성화하고  
  3. 활성화했을때 나오는정보(payload,key)를 사용하여 github에서 Webhook을 설정한다
  4. git에 push나 지정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AWX의 template가 자동연계실행 되는지 확인한다.
요런식이다.


  1. 내 Github의 PAT생성

    1. 당연히 github에 로긴
    2. 오른쪽 위 구석의 개인프로파일에서 "Settings" 선택 
    3. 왼쪽 메뉴에서  "Developer Settings" 선택 
    4. 왼쪽 메뉴에서 "Personal access tokens" 선택  (기본은 아무것도 없는게 정상)
    5. 우측의 "Generate new token" 클릭 
    6. 필요한 권한을 설정한다  (필요한 접근권한만 주도록 한다)
    7. 맨 아래 "Generate token" 버튼 클릭  - 토큰이 발급 되었다 이걸로 AWX Template에 webhook 설정시 연동하면 template에서 callback으로 정보를 전달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사실 필수는 아니고 필요한 경우 옵션으로 사용하면 된다.
      1. key는 지웠다. 쓸대 없이 뭐 해볼라고 하지마라!!
  2. GitHub PAT Credential 작성 
    1. AWX에 로그인한다.
    2. 왼쪽 메뉴에서 "CREDENTIALS"를 선택
    3. 우측 화면 위쪽에 녹색의 "+" 버튼이 있다. 자격증명을 추가하는 버튼이다.
    4. 입력화면 
      1. NAME : 알아서 적당히 
      2. DESCRIPTION : 알아서 적당히
      3. ORGANIZATION : 사용할 권한이 있는 조직을 선택 
      4. CREDENTIAL TYPE : "GitHub Personal Access Token"을 선택한다.  
      5. TOKEN : type을 선택하면 나타난다.  위의 GIT에서 생성한 PAT를 넣어준다. 
    5. "SAVE"
  3. Template(AWX)에 WEBHOOK 설정 

    1. AWX에 로그인한다. 
    2. git에 연동할 template를  선택한다
    3. "OPTIONS" 중에 "ENABLE WEBHOOK"을 체크한다. 뭔가 추가로 입력할 수 있는 박스들이 나타난다. 
      1. 버전이 낮으면 이 기능이 없다. 이런 경우 API Call 방식으로 연동을 할 수 있으나 그 부분은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내가 테스트한 버전은 AWX 9.1.1이다.  
    4. 입력화면

    저장을 한번 해야 key가  만들어진다.
    만들어 놓은 Credential선택
      1. WEBHOOK SERVICE : github, gitlab중에 선택한다.
      2. WEBHOOK KEY : 한번 저장해야 생성된다. 저장하면 생성되는 키로 github에 연동하면 github에서 해당 template로  인증 token으로 사용된다. (git --> awx)
      3. WEBHOOK CREDENTIAL : 앞서 작성한 git PAT Credential을 등록해준다. 이 자격증명은 실행 결과에 대한 Callback시 git으로  인증 token으로 사용된다.(awx --> git)
  4. GitHub Project에 설정 

    1.  이벤트 발생(push등)시 awx에 연동할 repository에 awx연동을 위한 설정을 추가한다.
    2. github에 로그인하고 repository를 선택한다.
    3. project의 "Settings" 선택
    4. 왼쪽 메뉴에서 "Webhooks" 선택 - 기본 아무것도 없다.
    5. 오른쪽 화면에 "Add webhook" 버튼클릭
        1. Payload URL : AWX template설정시 만들어지는 WEBHOOK URL을 입력한다
        2. Content type : AWX 연결시 json
        3. Secret : AWX template설정시 만들어진 KEY를 입력한다.
        4. SSL verigication : ssl 접속을 한다. awx를 SSL로 접속하지 않을경우 끈다. 번거로와도 SSL접속을 되도록 AWX를 설치하는것을 권장한다.
        5. trigger : 어떤 이벤트시에 AWX template를 호출할 것인지 event를 선택한다. 나는 push event만 선택했다. 원한다면 다른것들도 가능하다.
        6. Avtive : Check해야 활성화ㅣ
    6. "Add webhook" 버튼을 눌러 저장 
    7. 에러 발생시에는..
      1. add시에 자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실패하면 빨간색 표시가 뜬다
      2. 내용 설정을 다시한번 확인해본다. edit를 눌러 들어가면  직접 test를 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이상으로  git hub에서 awx로  webhook을 사용하여 pipe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회사내부에 gitHub Enterprise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공개 github.com에서 사내의 awx 서버에 접속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다.(보통 보안상 접근불가)
GitLab (opesource)도 지원하므로 사내에 repository를 구축해서 연동하면 충분히 사용할 만 하다. 

git에 push -> jenkins (일반적으로 build test, code test) 형태로 주로 사용하고 
실제 배포는 jekins에 들어가서 버튼을 누를겁니다....(자동은 무섭....)

빌드는 jenkins에서 하지만 서버에 파일 넣고 재구동 하기가 꽤나 번거로울겁니다. 보통 ssh plugin으로 쉘명령 날리기로 하실껀데....뭐 에러나고 권한문제생기고...그렇죠

ansible plugin도 있으니 ansible yaml code를 jenkins에 넣어서 작업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요 

AWX를 잘 쓰고 있다는 가정하에 다양하게 연동하실 수 있을 겁니다. 

git에 push -> awx template  (build? copy? restart?)
git에 push -> jenkins pipeline -> awx template 

상상력을 발휘해보시고 일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이상